정부는 이제부터 중화학공업 육성 시책에 중점을 두는 중화학공업정책을 선언하는 바입니다. 80년대 초에 우리가 100억 달러의 수출목표를 달성하려면 전체 수출상품 중에서 중화학제품이 50%를 훨씬 더 넘게 차지해야 되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정부는 지금부터 철강, 조선,석유화학 등 중화학공업육성에 박차를 가해서 이 분야에 제품수출을 목적으로 강화하려고 추진하고 있습니다. 1973년 1월 12일 박정희 전 대통령 연두기자회견 중
우리나라 화학산업의 역사는 제당, 제지, 합성섬유 등 소비재 제품들을 생산하기 시작한 1950년대부터 시작됐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1960년대까지만해도 국내 화학산업은 그 규모가 영세했고, 대부분 완제품을 수입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그러다가 국가 기간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은 1962년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실시되고, 1966년 석유화학산업을 제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중점사업으로 육성하기로 결정하면서부터였다.
1972년 1월 10일자 매일경제신문
국내 화학산업은 1차, 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통해 발전의 기반을 마련했 다. 그러나 그때까지 화학·화공 기술은 수입 원재료를 희석시키거나 배합해 완 제품으로 바꾸는 단순 가공 수준이었고, 수입 원재료를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개발 활동은 크게 부진한 상태였다. 이런 상황에서 화학산업의 패러 다임을 바꿀 수 있는 새로운 계기가 마련됐다.
대덕연구학원도시 건설 기본계획
화학연의 설립은 1973년 연구학원도시(현재의 대덕연구개발특구) 건설 계획과 함께 구체적으로 검토되기 시작했다. 정부는 1973년 초 연구학원도시의 입지를 충남 대전시와 그에 인접한 대덕군 일원에 걸친 약 810만 평으로 확정하고, 같은 해 5월부터 1974년 12월까지‘ 연구학원도시 타당성 검토 및 계획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대덕연구학원도시 주민대책 및 계열별 연구단지의 입지에 관한 조사 연구‘’, 대덕연구학원도시 조사 및 기본계획에 관한 연구’ 등 일련의 연구사업을 통해 연구학원도시의 구체적 건설계획을 마련했다.
제1차 화학연구소 설립추진위원회 개최
설립추진위원회의 결의에 따라 산업계 및 학계의 전문가와 정부의 화학공업 관련부서의 책임자로 구성된 4개 부문의 전문위원회가 구성됐으며, 이 전문위원회는 연구소의 연구 분야 및 방향설정, 연구기기 및 장비의 선정 등 연구소의 설립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들을 마련해 건의했다. 그리고 정부는 이 건의를 받아들여 1976년 7월 30일 연구소 설립 계획을 최종 확정했다.
한국화학연구원 건설기금 출연기업
COPYRIGHT (c) 2020 KRICT. ALL RIGHTS RESERVED.